본문 바로가기
수의대생기부

25년도 수의대 세특 주제 광견병 5가지 (공중보건, 야생동물, 최신관련논문)

by ShaVet 2025. 3. 26.
728x90

최근이슈

매년 6만여명 사망하는 광견병, 한국의 근절 성공방정식을 아시아에 전파한다

관련기사출처: https://www.dailyvet.co.kr/news/association/240629


 

이미지출처: 광견병 Wikimedia Commons

 

광견병 관련 생기부 세특 탐구주제

 

광견병은 단순한 질병을 넘어 공중보건, 생태학,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할 복합적인 주제입니다.

전세계적으로 반려동물과 야생동물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. 수의학 전문가들은 광견병 예방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고 예비 수의학도들이 알아야 할 핵심 정보들이 많습니다.

 

1. 서울 지역 반려동물의 광견병 항체 보유율 조사 (2017–2019)

  • 제목: Seroprevalence of rabies virus antibody for dogs and cats in Seoul during 2017–2019
  • 저자: Lee JH 외
  • 학술지: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
  • 발행연도: 2019
  • 요약: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 지역에서 수집된 반려견과 반려묘의 혈청 샘플을 분석하여 광견병 바이러스 항체 보유율을 조사한 연구입니다. 총 2,769개의 혈청 샘플 중 934개(33.7%)에서 항체가 검출되었으며, 개에서는 36.8%, 고양이에서는 13.3%의 항체 보유율이 확인되었습니다.

 

 

2. 이란에서의 동물 물림과 광견병 노출 후 예방 조치 지연 요인 분석

  • 제목: Epidemiology of Animal Bit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lays in Post-exposure Prophylaxis
  • 저자: Khazaei A 외
  • 학술지: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
  • 발행연도: 2017
  • 요약: 이란 파르스주에서 동물 물림 사례를 분석하고, 광견병 노출 후 예방 조치(PEP)의 지연 요인을 조사한 연구입니다. 전체 환자 중 6.8%가 PEP를 지연받았으며, 이는 직업, 상처 깊이, 동물 종류 등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습니다.

 

 

3.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제니차-도보이 주에서 광견병 의심 동물에 의한 사람의 물림 사례의 역학적 특성 (2019)

  • 제목: Epidemiological Features of Human Cases After Bites/Scratches From Rabies-suspected Animals in Zenica-Doboj Canton, Bosnia and Herzegovina
  • 저자: Selma Uzunović, Muhamed Skomorac, Fatima Bašić, Ivona Mijač-Musić
  • 학술지: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
  • 발행연도: 2019
  • 요약:
    •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제니차-도보이 주에서 광견병 의심 동물에 의한 사람의 물림 및 긁힘 사례를 분석한 연구입니다.
    • 전체 환자 중 58.1%가 노출 후 예방접종(PEP)을 권고받았으며, 19.9%의 동물만이 수의학적 관찰을 받았습니다.
    • 물림 부위는 하체가 가장 많았으며, 대부분의 사례는 유기견에 의해 발생했습니다.
    • 이 지역은 광견병 비발생 지역으로 분류되지만, 유기동물 관리 부족으로 인해 예방 및 통제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.

이 논문은 공중보건 및 수의학 분야에서 광견병 예방과 통제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특히 유기동물 관리의 중요성과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어,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.

 

 

4. 광견병 바이러스의 자연 감염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분석

  • 제목: Natural Infection with Rabies Virus: A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
  • 저자: Kim JH 외
  • 학술지: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
  • 발행연도: 2019
  • 요약: 광견병에 자연 감염된 인간 뇌조직을 조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으로 분석하여, 선천 면역 반응이 질병의 진행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 연구입니다.

 

5. 한국의 광견병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대한 회고적 연구

  • 제목: Retrospective Study of Extensive Vaccination Programs for Canine Rabies Control and Public Health in Korea
  • 저자: Joo YS 외
  • 학술지: Japanes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
  • 발행연도: 2011
  • 요약: 1962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에서 시행된 광견병 예방접종 프로그램의 효과를 회고적으로 분석한 연구입니다. 두 가지 다른 예방접종 프로그램 하에서의 광견병 발생률을 비교하였으며, 총 753건의 광견병 사례와 350건의 인간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.

세특 탐구주제

- 광견병 백신 기술의 혁신적 발전 과정 연구
-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광견병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제안

 


서울대 수의대 재학생 생기부 컨설팅 첨삭 MMI 면접 대비를 원하시면 댓글 남겨주십시오. 

스팸성 댓글은 즉시 삭제됩니다.

 

728x90